티스토리 뷰
목차
2022년 9월 28일 해양수산부에서 비봉이 해상가두리로 돌아가 야생적응훈련 재개 보도자료가 나왔습니다
비봉이 해상가두리로 돌아가 야생적응훈련 재개
- 가두리 훈련 중 야생무리와 총 42회 접촉하는 등 야생 적응력 향상 -
해양수산부는 제11호 태풍 힌남노를 피해 지난 8월 31일 수족관으로 긴급 이송되었던 남방큰돌고래 비봉이를 9월 27일(화) 해상가 두리로 다시 이송하고 야생 적응훈련을 재개했다고 밝혔습니다
비봉이는 지난 8월 4일(목)부터 제주도 서귀포시 대정읍 앞바다에 설치된 해상가두리에서 야생 생태계 적응훈련을 받아왔으나, 9월초 제주도와 남해안 지역을 강타한 제11호 태풍 힌남노를 피해 퍼시픽리솜 수조로 이송하여 실내 훈련을 받았다. 태풍의 위험이 사라지고 해상가두리 보수 작업이 완료됨에 따라 방류협의체에서는 비봉이를 다시 해상가두리로 이송하고, 야생적응 훈련을 제개하기로 결정하였고, 비봉이는 9월 27일(화) 해상가두리로 돌아 가게 되었습니다
* 비봉이 방류 관련 제반사항을 협의·결정하기 위한 기구(해양수산부, 제주특별자치도, 호반호텔앤리조트(퍼시픽리솜), 시민단체(핫핑크돌핀스), 제주대학교 참여)
그 동안 비봉이는 제주도 연안의 수온과 조류, 파도 등 야생의 바다 환경에 잘 적응해 왔다. 매일 약 5~7kg 정도의 활어를 직접 사냥해서 먹는 등 활어 사냥능력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호흡이나 잠수시간 등의 행동특성도 야생의 돌고래와 유사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특히, 해상 가두리 훈련기간(28일) 중 14일, 총 42회에 걸쳐 야생의 돌고래 무리와 접촉하는 모습이 확인되었으며, 야생 무리와 접촉하는 동안 가두리 내에서 함께 유영하거나 물 위로 뛰어올라 떨어질 때 몸을 수면에 크게 부딪치는 행동(브리칭)을 보이는 등 적극적으로 교류하는 모습도 관찰되었습니다
이는 이전에 방류했던 돌고래들의 야생적응훈련 기간 중 야생 돌고래무리 접촉횟수(약 4~6회) 대비 7배 이상 많은 것으로, 전문가들은 방류 후 야생 생태계에 보다 빨리 적응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 일부러 물보라를 크게 일으켜 주변의 동료들과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행동으로 해석
비봉이는 여전히 사람에 대한 친밀감을 지속적으로 보이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먹이에 적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해양수산부는 앞으로의 훈련 과정에서 사람과의 접촉을 보다 철저하게 차단하고, 다양한 먹이를 제공하는 등 야생적응력을 높여갈 예정입니다
비봉이의 해양방류 여부 및 방류 시점은 건강상태, 먹이사냥 능력, 행동 특성, 야생무리와의 접촉상황 등의 훈련 성과를 기술위원회 전문가를 통해 종합적으로 진단·평가하고 협의체 논의를 통해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비봉이의 야생적응훈련 과정에 대한 사진 및 동영상 등은 해양환경정보포털 누리집(www.meis.go.kr)에서 확인할수 있으며, 방류 이후 야생에서 관찰되는 모습도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입니다
관련내용의 원본자료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로 파일을 올려놓았습니다
다운받아보세요!!!
2022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 9월 22일(목)~24일(토) 개최
2022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 9월 22일(목)~24일(토) 개최
2022년 9월 21일 산업통상자원부에서 2022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 9월 22일(목)~24일(토) 개최 보도자료가 나왔습니다 AI, 메타버스 활용한 미래 에듀테크 제품․서비스를 체험하세요! 2022 에듀테크
nambuland.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