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국토교통부는 최근 기준금리 인상 등에 따른 시중금리와의 격차, 국민 편익 및 기금의 재무건전성 등을 감안하여 주택청약종합저축 (청약저축)과 국민주택채권 금리를 0.3%p 인상한다고 밝혔습니다

     

    인상금리

    • 청약저축 금리는 현재 1.8% → 2.1%
    • 국민주택 채권 방핼 금리는 1.0% → 1.3%

    금리인상배경

    최근 인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국내외 기준금리와 시중금리가 급격히 인상되었고, 이러한 상승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 美 기준금리 ’21.7월 0.25%→’22.11월 4.00%, 韓 기준금리 ’21.7월 0.50%→’22.10월 3.00%

     

    기준․시중금리와 기금 조달금리 간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청약저축 금리 등의 인상이 필요하나, 이 경우 기금의 재무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대출금리 인상도 요구되는 상황입니다

     

    기준․시중금리와 기금 조달금리 간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청약저축 금리 등의 인상이 필요하나, 이 경우 기금의 재무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대출금리 인상도 요구되는 상황입니다

     

    금리인상 추진방향

    기금 대출금리는 고물가, 고금리 등 어려운 경제 여건과 서민 부담 완화를 위해 금년 말까지 동결하기로 한 만큼, 청약저축과 국민주택채권 금리 인상을 우선적으로 추진합니다
    * 버팀목 대출(주거분야 민생안정 방안, 7.20), 디딤돌 대출(추석 민생안정대책, 8.11)

     

    이번 금리 인상은 사전 규제심사, 기금운용심의회 심의, 행정예고, 국토부 고시 등 관련 절차를 거쳐 청약저축 금리는 11월 중, 국민주택 채권 금리는 12월 시행될 예정으로,
    - 청약저축 납입액이 1천만원인 가입자는 연간 3만원의 이자를 추가로 받게 되고, 1천만원 상당의 국민주택채권을 매입 후 즉시 매도하는 경우 부담금이 약 15만원 줄어들게 됩니다
    * 청약저축 납입액 1천만원 가정 시 現 이자 18만원→21만원(+3만원)
    ** 국민주택채권 1천만원 즉시 매도시 現 부담금 172만원→157만원(△15만원, ’22.10월말 기준)

     

    주택도시기금

    주택도시기금은 청약저축, 국민주택채권 등을 통해 조성한 자금을 임대 주택 건설, 무주택 서민에 대한 주택구입 및 전세자금 저리 대출 지원 등 다양한 주거복지 사업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 통합공공임대 주택자금 연 1.8%, 디딤돌 대출(구입) 2.15~3.0%(생애최초․신혼부부 전용은 최저 1.85%), 버팀목 대출(전세) 1.8~2.4%(신혼부부․청년 전용은 최저 1.2%) 등

     

    관련내용의 원본자료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로 파일을 올려놓았습니다

    다운받아보세요!!!

    221108(석간)_주택청약저축_금리_11월_인상(주택기금과).pdf
    0.18MB

     

     

    주택청약 가점제 안내

     

    주택청약 가점제 안내

    내집마련중 하나는 바로 주택청약입니다 주택청약 점수에 따라서 청양 당첨확률을 올릴수 있습니다 주택청약 가점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주택청약 가점제 안내 청약가점에란 가점항목에

    nambuland.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