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2022년 9월 26일 서울시 데이터‧인공지능 기반 행정 본격화…공공서비스 개인 맞춤형으로 받는다 보도자료가 나왔습니다
서울시 데이터‧인공지능 기반 행정 본격화…공공서비스 개인 맞춤형으로 받는다
- 행정‧민간데이터에 인공지능 기술 더해 맞춤서비스 제공 ‘디지털 플랫폼 서울’ 구축 추진
- 예측형 행정체계로 서비스 대상자 미리 파악해 안내, 방문‧서류 없이 신청까지
- 정보화 전략계획(ISP) 수립하고 내년 ‘청년몽땅정보통’ 우선 적용
청년수당,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 같이 서울시가 실시하고 있는 다양한 정책 가운데 내가 지원대상이 될 경우 카카오톡 ‘서울톡’ 등을 통해 자동으로 안내받고, 무(無)서류‧무(無)방문으로 한 번에 신청까지 가능해집니다
서울시는 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반의 예측형 행정으로 시민 개개인에게 꼭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를 선제적으로 제공하는 ‘디지털 플랫폼 서울’ 구축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ㅇ 시는 올해 3월부터 자체 실무협의(TF)팀을 구성, 6차 회의와 7차례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디지털 플랫폼 서울 구축 방향, 선결과제 및 고려사항, 기술 동향, 서비스 대상․범위, 중앙정부 추진현황 등을 논의했습니다
‘디지털 플랫폼 서울’은 서울시 각 분야별로 산재되어 있는 행정정보를 연결하는 통합관리체계다. 축적된 행정‧민간데이터에 인공지능(AI) 기술을 더해 대상자별로 필요한 공공서비스를 먼저 파악하고, 신청할 수 있도록 선제적으로 안내해줍니다
이용자가 사전에 등록한 관심정보에 대한 단순 알림 서비스에서 한 단계 진화한 방식이다. 분야별, 기관 간 데이터 연계를 통해 서비스 신청에 필요한 서류를 최소화할 수 있어 무(無)방문·무(無)서류 민원처리도 가능해집니다
〈 ‘디지털 플랫폼 서울’ 이란 〉 시정 전반 데이터 흐름을 연결하여 데이터 통합관리체계를 만들고, 인공지능(AI)·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예측형 행정체계로 혁신적인 맞춤·개인화 서비스를 발굴하고 제공하는 것 |
디지털 플랫폼 서울’의 주요 서비스는 ①한 곳에서 서울의 모든 정보를 통합 제공 ②한 곳에서 모든 민원‧공공서비스를 해결 ③한 곳에서 나에게 맞는 서비스를 알아서 제공, 세 가지입니다
① 시민이 원하는 모든 공공정보와 서비스를 위해 분야별 행정정보를 연계하고, 인공지능(AI)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검색 서비스를 구현한다. 맞춤정보를 지도기반으로 표출하고 시각·음성 검색도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② 기관 간 서류 데이터 연계, 디지털 전환(비대면자격확인‧개인맞춤형정보 등)으로 서비스 신청에 필요한 구비서류를 최소화하며, 카카오톡 기반 서울시 대표 채팅로봇 “서울톡”으로 안내·상담 및 신청, 결과를 시민에게 제공하여 시민 정보 접근성을 확보한다.
③ 민간 및 행정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시민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먼저 파악하고, 서울시의 모든 보조금과 공공서비스를 시가 알아서 신청 가능 서비스의 알람을 발송하고 신청할 수 있도록 챙겨주는 맞춤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는 우선 내년부터 청년정책 관련 통합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청년몽땅정보통(youth.seoul.go.kr)’에 시범적으로 적용한다. 기존 데이터를 활용해 민간데이터 등 다양한 플랫폼 간 데이터를 수집‧연계‧결합해 맞춤형 청년정책 서비스를 고도화한다. 시는 청년 등 특화분야에 우선적으로 적용하고, 교육, 복지, 교통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 적용한다는 계획입니다
ㅇ ‘청년몽땅정보통’은 청년정책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다. 모든 청년정책의 통합검색 기반이 조성돼 있고, 온라인 신청·접수가 가능하며,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관심 정보를 수집하고 있어 시범 적용에 적합하다고 시는 설명했습니다
ㅇ ‘청년몽땅정보통’의 기존데이터(청년몽땅정보통)+민간데이터(통신, 카드·금융 등) 결합·분석을 통해 신규서비스를 발굴하고, 서비스 제공 기준, 내용, 수혜자 등을 학습한 인공지능(AI) 연산방식(알고리즘)을 개발해 서비스 대상을 판단, 선제적 알림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위해 ‘디지털 플랫폼 서울’ 구축을 위한 정보화 전략계획(ISP)을 수립한다. 현행 시스템을 분석하고 서비스(안) 설계와 단계별 이행계획, 중장기 발전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디지털 플랫폼 서울’ 구축 정보화 전략계획(ISP) 수립 사업예산을 '22년 추경예산으로 확보하여 ’22년10월부터 6개월간 추진합니다
ㅇ ‘디지털 플랫폼 서울’ 구축 정보화 전략계획(ISP) 수립은 내‧외부 정책환경을 분석하고, 서울시의 현행 분야별 플랫폼(포털) 및 기반(인프라) 분석을 통해 데이터 통합·연계방안을 도출한다. ‘디지털 플랫폼 서울’ 서비스(안)의 목표모델 설계, 이에 필요한 기술 제시, 단계별 이행 계획 등 플랫폼 구축 전략 수립 등도 수행합니다
다만, 중앙정부와의 데이터 공유, 데이터 표준화 및 개인정보 수집‧활용을 위한 법 개선 등에 기간이 소요되는 만큼, 정부의 ‘디지털플랫폼정부 단계적 이행안(로드맵)’과 연계해 협력체계를 유지하면서 점진적으로 추진해나갈 계획입니다
ㅇ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분석가치가 높은 개인정보를 보유한 중앙정부와의 데이터 공유가 필요하다. 통합·융합을 위한 데이터의 표준화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데이터 활용에 필요한 개인정보 수집·활용의 법적, 제도적 장벽이 높아 이를 해결하기 위한 규제 및 법제 개선 등의 정부정책에 맞춰 추진이 필요하다는 것이 시의 설명입니다
디지털플랫폼정부 추진방향
ㅁ 발표일 : ’22. 05. 02.
√ 디지털플랫폼 정부 정의 : 모든 데이터가 연결되는, “디지털 플랫폼” 위에서 국민, 기업, 정부가 함께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정부
ㅁ 비전 : 모든 데이터가 연결되는 세계 최고의 디지털플랫폼정부
ㅁ 목표 : 편안한 국민, 혁신하는 기업, 과학적인 정부
ㅁ 단계적 이행 로드맵
ㅁ 중점 추진과제(5개)
ㅇ 단기에 개선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혁신적인 ‘국민체감 선도 프로젝트’ 추진
ㅇ 누구나 쉽게, 한곳에서, 한번에 이용 가능한 ‘먼저 찾아가는 공공서비스’ 구현
ㅇ 공무원의 일하는 방식을 ‘인공지능·데이터 기반 과학적 국정운영’으로 개편
ㅇ 세계를 선도하는 디지털플랫폼정부 혁신 생태계 조성
ㅇ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이용환경 보장
※ 국민 선호도가 높은 국민체감 선도프로젝트 발표(10개) -(편안한 국민) 청약정보 통합조회·신청 / 전자계약과 마이데이터로 부동산 거래 / 청년일자리 AI매칭 / 실손보험 간편청구 -(혁신하는 기업) 골목상권별 데이터 개방·창업 등 활용 / 기업 마이데이터로 무역금융 신청 / 중소·벤처기업·소상공인 지원 맞춤형 추천 -(과학적인 정부) 데이터 기반 복지 사각지대 해소 / 국정상황·문제 실시간 공유로 민관협업 해결 / 글로벌 공급망 위험 조기경보 |
디지털 플랫폼 서울’ 개념 및 서비스 체계
ㅁ 개 념
ㅇ 시정 전반 데이터 흐름을 연결하고 (데이터 통합관리체계 구축)
ㅇ AI·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예측형 서비스 창출 (과학행정, 맞춤·개인화 서비스)
ㅁ 비전 및 서비스 체계
ㅁ 추진방향
ㅇ 새정부의 ‘디지털플랫폼 정부’ 단계적 이행 로드맵 연계, 협력체계 구축
ㅇ 시민체감도 향상을 위한 디지털 플랫폼 기반의 대시민 서비스 발굴·제공
- 서울시 전 부서의 데이터 통합으로 모든 공공서비스를 한 곳에서 제공
- 마이데이터 등 기관 간 데이터 연계·활용으로 無방문·無서류 민원서비스 처리
- 민간 및 행정데이터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공공서비스 선제적 제공
디지털 플랫폼 서울 구축 계획
ㅇ 디지털 플랫폼 서울’ 구축을 위한 기반 조성 및 市 자체사업(청년, 교육 등) 우선 추진 후 정부의 지자체 지원 체계 고려하여 점진적으로 분야 확대
① 테스트베드 사업으로 ‘청년몽땅정보통’ 우선 추진(’23)
ㅇ 사용자 의도를 반영한 청년정책 맞춤형 검색 구현
ㅇ 모든 청년서비스 원스톱·無방문·無서류로 신청
ㅇ 선제적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
② ‘서울형교육플랫폼’ 구축 시, ‘디지털 플랫폼 서울’ 적용(’23)
ㅇ 다양한 플랫폼·학습자원을 공유·활용하는 오픈 플레이스 구현
ㅇ (서울런) 자격확인 증빙서류 없이 無서류로 신청
ㅇ AI·빅데이터 활용 개인 맞춤형 학습서비스 제공
③ 디지털 플랫폼 기반 구축 추진
ㅇ 서울시 공공마이데이터(서울지갑 PDS) 기반 구축(’23.)
ㅇ ‘디지털 플랫폼 서울’ 확대를 위한 데이터 통합체계 구축(’23.~)
ㅇ 플랫폼 간 데이터 연계·분석 결과를 타 분야에 활용(’23.6.~)
ㅇ 복지·보육·주택·문화 등 전 분야로 확대 구축(’24.~)
④ 민관협력 및 정책확산
ㅇ 디지털 플랫폼 활용 메타데이터 전면 개방 및 메이크 데이터 운영(’23.)
ㅇ 글로벌 주요도시(뉴욕, 런던)와 데이터 공유로 도시 문제 공동 해결(’26.)
관련내용의 원본자료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로 파일을 올려놓았습니다
다운받아보세요!!!
경기도 21일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제5회 꿈울림 축제 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