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2022년 11월 2일 서울시 산림병해충에 화학적방제 줄이고 친환경방제 늘린다 보도자료가 나왔습니다
서울시 산림병해충에 화학적방제 줄이고 친환경방제 늘린다
- 서울시 산림병해충 방제 시 농약사용 최소화하고, 친환경·물리적방제 방법 확대
→ 미생물‧ 식물성오일 등 유기농업자재, 페로몬·끈끈이롤트랩, 알덩어리 및 해충 서식지 사전 제거 등 다양한 친환경·물리적 방제 시행
→ 꿀벌에 독성 있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 전국 최초 사용 금지
- ‘무농약 친환경방제 공원(길동생태공원, 서울창포원)’ 2개소 시범 관리
→ 목초액, 식물추출물 등 친환경방제 관리, 방제 효과에 따라 더 많은 공원 도입 검토
- 서울시, 생활사에 따른 맞춤 방제로 올해 방제 모범사례(산림청) 선정, 2016년 이후 소나무재선충병 청정지역 유지
서울시가 농약 사용 위주의 산림병해충 방제에서 벗어나 다양한 친환경‧물리적방제를 통해 생태계 건강성 유지에 적극 나섭니다
ㅇ 그동안 병해충 방제는 빠르고 효과가 뛰어난 농약 위주의 화학적방제를 주로 시행하였으나, 해충뿐 아니라 꿀벌 등 곤충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우려가 있었습니다
※ 화학적 방제: 지상 약제살포, 나무주사, 토양 약제살포, 항공방제 등
시는 친환경방제의 일환으로 겨자오일을 이용한 벚나무사향하늘소 방제, 해충 발생 저감을 위한 알덩어리 제거, 매미나방 번식 방지를 위한 페로몬트랩 설치, 대벌레와 참나무시들음병 매개충 포살을 위한 끈끈이롤트랩 설치 등 다양한 비화학적 방제를 통해 효과를 확인해왔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친환경·물리적방제법을 시도할 예정입니다
ㅇ 여의도 왕벚나무에 피해를 주는 벚나무사향하늘소 방제를 위해 겨자오일을 이용한 친환경방제를 올해 최초 실시하여 작년 대비 해충발생량을 약 30% 감소시켰습니다
ㅇ 아울러, 매미나방 수컷과 암컷의 교미 억제를 통한 발생밀도 감소를 위해 페로몬트랩을 설치하고, 대벌레 약충과 참나무시들음병 매개충(광릉긴나무좀) 포획을 위한 끈끈이롤트랩 설치, 소나무 수형조절 및 솎아베기를 통한 면역력 개선 등 농약 사용을 줄이기 위하여 다양한 친환경·물리적방제를 시행하였습니다
※ 청계산 매미나방 페로몬트랩: 250개 설치, 끈끈이롤트랩 23,000여 주 설치
ㅇ 올 초 알덩어리 집중 제거로 매미나방 성충 발생이 77% 줄어든 바, 이번 겨울에도 해충 알덩어리 제거에 총력을 다할 예정입니다
※ 매미나방 발생량: ’21년 9월말 1,363ha→ ’22. 9월말 316ha (77% 감소)
(암컷 성충의 영양상태에 따라 알덩어리 내 알의 수는 차이가 있으나 알덩어리 1개당 평균 300여개 정도의 알이 있음)
시는 우선 도심공원 중 길동생태공원과 서울창포원을 농약사용 없는 ‘무농약 친환경방제 공원’으로 시범 관리하며 방제효과를 점검합니다
ㅇ이 두 공원에서는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목초액, 식물추출액 등 친환경제재로만 산림병해충을 방제하여 효과를 확인하고, 효과가 높을 경우 도심의 다른 공원까지 확대 도입할 예정이다. 또한 자치구에서 무농약 친환경방제 공원 관리 시 친환경방제 제품 구매비를 지원할 예정입니다
앞서, 서울시는 꿀벌 보호를 위해 전국 최초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 사용을 금지하고, 그 외 꿀벌에 독성이 있는 농약에 대해서도 대체농약 사용을 적극 권장하는 등 선제적 조치를 취해 왔습니다
ㅇ 꿀벌에 독성이 강하여 꿀벌 피해 원인으로 거론되는 ‘네오니티노이드계 농약’ 사용을 전국 지자체 중 최초로 금지(’22.7.4.)하였으며, 그 외 꿀벌에 독성이 있는 농약도 최대한 대체 농약을 사용할 것을 방제기관 및 약제 처방업체(1종 나무병원)에 협조 요청하였습니다
ㅇ 아울러, 서울시는 산림병해충 농약을 사용하더라도 독성이 가장 낮은 등급의 저독성 농약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며 생태계 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서울시 지상방제 사용 농약: 인축독성 Ⅳ급(저독성), 어독성 Ⅲ급(최저등급)
< 농약 독성 표기(농약관리법) >
1. 급성독성정도에 따른 농약등의 구분(인축독성)
구분 | 시험동물의 반수를 죽일 수 있는 양(㎎/㎏ 체중) | |||
급성경구 | 급성경피 | |||
고체 | 액체 | 고체 | 액체 | |
Ⅰ급(맹독성) | 5 미만 | 20 미만 | 10 미만 | 40 미만 |
Ⅱ급(고독성) | 5이상 50미만 | 20 이상 200 미만 | 10 이상 100 미만 | 40 이상 400 미만 |
Ⅲ급(보통독성) | 50 이상 500 미만 | 200 이상 2,000 미만 | 100 이상 1,000 미만 | 400 이상 4,000 미만 |
Ⅳ급(저독성) | 500 이상 | 2,000 이상 | 1,000 이상 | 4,000 이상 |
2. 어류에 대한 독성정도에 따른 농약등의 구분(어독성)
구분 | 반수를 죽일 수 있는 농도 (㎎/l, 48시간) |
Ⅰ급 Ⅱ급 Ⅲ급 |
0.5 미만 0.5 이상 2 미만 2 이상 |
서울시의 해충 생활사에 따른 다양한 방제방법은 ‘2022년 산림병해충 지역예찰·방제본부’ 모범사례로 선정(산림청, ’22.10.12.)되었으며, 2017년부터 현재까지 6년 연속 ‘소나무재선충병 청정지역’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ㅇ 서울시 은평구 봉산 대벌레에 대해 약충 발견(’22.3.24.)과 동시에 생활사별 방제를 실시하여, 약충 초기에는 끈끈이롤트랩, 약충 중기에는 약제 방제 병행, 성충기에는 인력 포획을 통한 맞춤형 방제로 발생량을 크게 감소시켜 산림병해충 방제 모범사례로 선정(’22.10.12.)되었습니다
※ 포충량 : ’20년 4,920L → ’21년 2,805L → ’22년 1,580L (’20년 최초 대발생 후 70% 가까이 개체수 감소)
ㅇ 아울러 서울시는 2016년 중랑구 용마산에서 소나무재선충병이 마지막으로 발생한 이후 철저한 예찰과 예방사업, 이동단속 및 반출·입 확인 등을 통해 지금까지 추가 발생이 없는 소나무재선충병 청정지역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관련내용의 원본자료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로 파일을 올려놓았습니다
다운받아보세요!!!
세종문화회관 공연 광화문광장에서 본다…개관 50년 맞아 전면 새단장 개관
세종문화회관 공연 광화문광장에서 본다…개관 50년 맞아 전면 새단장 개관
2022년 10월 25일 서울시에서 세종문화회관 공연 광화문광장에서 본다…개관 50년 맞아 전면 새단장 개관 보도자료가 나왔습니다 세종문화회관 공연 광화문광장에서 본다…개관 50년 맞아 전면 새
nambuland.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