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고용노동부는 3월 2일(목)부터 청년내일채움공제 누리집(http://www.work.go.kr/youngtomorrow)을 통해 2023년도 청년내일채움공제 사업 참여 신청을 받습니다
자격요건과 신청방법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로 들어가셔서 보시면 됩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청년‧기업‧정부 3자 적립을 통해 노동시장에 신규로 진입하는 청년에게는 초기경력 형성 기회를, 중소기업에는 우수한 청년인력의 유입과 장기근속 유도를 통한 숙련된 인재 확보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올해는 신규 가입자 2만 명을 지원할 예정이며, 인력 부족 업종의 소규모 기업을 가입 대상으로 하여 중소기업의 ‘인력수급 미스매치 해소’ 목적을 강화하고, 부담 합리화를 통해 더욱 필요한 곳에 지원할 수 있도록 제도를 운영합니다
2023년도 청년내일채움공제 지원대상
지원 대상은 상대적으로 인력 부족이 심각한 소규모(5인 이상 50인 미만) 제조업·건설업종에 신규 취업한 청년‧기업이며, 신규 가입을 희망하는 청년과 기업은 관할 고용센터로 문의하면 됩니다
* 청년내일채움공제 누리집(http://www.work.go.kr/youngtomorrow)통해 상세한 가입 요건 확인 및 참여 신청 가능
적립구조
적립구조 및 지급방식은 2년간 청년․기업․정부가 각각 400만원을 공동 으로 적립하여 총 1,200만원을 만기 시에 청년에게 지급하게 됩니다
청년의 자산형성을 두텁게 지원하기 위해 금융위원회 등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타 부처 자산형성 사업과 청년내일채움공제간 동시 가입을 허용합니다
* 신규청년도약계좌(금융위원회, 6월 출시 예정), 청년내일저축계좌(보건복지부, 5월 출시 예정)
아울러, 권익보호상담센터(1644-9990)를 운영하여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을 이유로 한 부당대우 등에 청년이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전문 상담서비스를 계속 제공합니다
* 운영기간: ‘23.2.15.~12.15., 한국공인노무사회 위탁 운영
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 시 환급 기준이 폐업․도산 등 청년의 귀책사유 없이 퇴직하는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되어 형평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는 현장의 의견을 들어 올해부터는 가입기간에 따라 적립된 금액을 최대 100%까지 지급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등 현장과 소통하며 지속적으로 제도를 개선해 나갈 예정입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