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2021년 12월 21일 농림축산식품부에서 공익직불제 시행 2년 대농 편중 완화 지역경제 활성화 등 성과 보도자료가 나왔습니다
공익직불제 시행 2년...대농 편중 완화, 지역경제 활성화 등 성과
- 한국농촌경제연구원·한국농업경제학회 공동 조사·분석 -
<주요내용>
◈ 공익직불제 지급성과 분석(한국농촌경제연구원)
ㅇ 20년 농가소득 중 농업 공적보조금(공익직불금 포함)의 평균 수령액이 전년대비107만원(39.8%) 증가, 공익직불제도입이농가소득안정에기여
ㅇ직불금 수령액 불평등도(지니계수)가 ’19년 0.623에서 21년 0.459로 하락, 중소농직불금비중증가및논·밭면적당직불금격차완화등형평성개선
◈ 기본형 공익직불금 관련 농업인 대상 설문조사(한국농업경제학회)
ㅇ (만족도) 공익직불제에 대한 만족도는 82.8%, 특히 논·밭 직불금 단가 차이가 줄어든 부분에 대한 만족도가 82.7%로 높음
ㅇ (기여도) 공익직불제 도입이 공익기능 중 ‘지역사회 유지에 기여 88.7%, 환경·자연경관 보전에 기여 86.2% 응답
ㅇ (사용지역·용도) 본인 거주지 사용 84.2%, 영농활동 사용 70.6%로 지역경제 활성화 및 농업인 영농 부담 완화
ㅁ 농림축산식품부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농업경제학회와 공동으로 공익직불금의 지급 결과를 분석한 결과, 농가소득 증가, 형평성 제고, 지역경제 활성화 등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공익직불제 지급성과 분서(한국농촌경제연구원)>
1. 공익직불제 도입으로 농가소득 증가...소농.고령층 두드러져
◆ 20년 농업 공적보조금(직불금 포함)이 전년 대비 107.1만원(39.8%) 증가
◆ 0.5ha 미만 농가 수령액 증가율 100.0%, 70세 이상 55.1%
ㅁ 농가경제조사(20년, 통계청)에 따르면, 공익직불금이 포함된 농업공적보조금 평균 수령액은 20년 375.9만원으로, 공익직불제도입 전인 19년 268.8만원에 비해 107.1만원(39.8%) 증가하였습니다
* 농가소득 중 이전소득은 농업·농업외 공적보조금과 사적보조금으로 구성되며, 농업공적보조금에는농업관련보조금, 직불금등이포함됨(재난지원금, 국민·개인연금등제외)
ㅇ 이는 공익직불제 도입으로 직불금 지급액이 농가·농업인당 94만원 증가한 것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 농가·농업인당 기본형 공익직불금 지급액: (19) 109만원 → (20) 203 (86.2% 증가)
* 농가소득(’20년) : 평균 4,503만원(농업 1,182만원, 농업외 1,661, 이전 1,426, 비경상 234)
ㅇ 0.5ha 미만 농가의 평균 농업 공적보조금 수령액은 100.0% 증가했으며, 70세 이상 경영주 수령액도 55.1% 증가해, 소농직불금 도입 등이 중소농, 고령농의 소득 안정에 기여한 것으로 보입니다
2. 대농, 논 농가에 대한 직불금 편중 완화로 형평성 개선
◆ 직불금 수령액의 불평등도가 완화되고, 중소농에 대한 지급비중 증가
◆ 논·밭 면적당 수령액의 격차는 점차 완화 논·밭 면적당 수령액의 격차는 점차 완화
ㅁ (대농 편중 개선) 공익직불제 도입으로 중소농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여, 직불금 지급의 대농 편중이 완화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ㅇ 직불금 수령액의 불평등도를 측정하는 십분위수와 지니계수를 산출한 결과, 19년 각각 22.722, 0.623에서 21년 8.426, 0.459로 하락하여 불평등도 개선이 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ㅁ (경작규모) 21년 0.5ha 이하 경작 농가·농업인에게 지급되는 직불금 비중은 24.2%(5,391억 원)으로, 공익직불제 도입 전 10.6%(1,306억 원) 대비 13.6%p 상승하였습니다
ㅇ 반면, 6ha 초과 경작 농업인에게 지급되는 직불금 비중은 14.8%(3,297억 원)로, ’19년 19.5%(2,414억 원) 대비 4.7%p 하락하였습니다
ㅁ (논·밭) 밭에 지급되는 직불금의 면적당 수령액은 ’19년에는 논의 43.1% 수준으로 낮았으나, ’20년 89.2%, ’21년 91.8%로 상승하여, 공익직불제 도입으로 직불금 지급의 논 편중이 완화되었습니다
<기본형 공익직불금 관련 농업인 설문조사(한국농업경제학회)>
ㅁ 농식품부와 한국농업경제학회는 올해 기본형 공익직불금 지급에 대한 현장 의견을 알아보기 위해 농업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ㅇ 거주지역, 수령한 직불금 종류, 영농기간 등을 고려하여 대상 농업인을 선정하였고, 공익직불제 만족도, 공익증진 효과, 주요 사용지역 및 용도에 대한 평가 등을 조사하였습니다
◆ 공익직불제 만족 82.8%, 논.밭 형평성 개선에 대해 82.7%가 만족
ㅁ 공익직불제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82.8%가 만족한다라고 답하였고, 소농직불제 도입에 대해서는 77.5%가, 공익직불금 예산 증액에 대해서는 76.2%가 ‘만족한다’라고 답하여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높았습니다
* 매우 만족 9.8%, 대체로 만족 35.8, 어느정도 만족 37.2, 별로 만족스럽지 않음 14.5, 전혀 만족스럽지 않음 2.7
ㅇ 논·밭 직불금 단가 차이를 줄여 형평성을 개선한 부분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82.7%가 ‘만족한다’*라고 답하여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높았습니다
* 매우 만족 18.7%, 대체로 만족 35.8, 어느정도 만족 28.2, 별로 만족스럽지 않음 13.8, 전혀 만족스럽지 않음 3.5
◆ 지역사회 유지에 기여 88.7%, 환경.자연경관 보전에 기여 86.2%
ㅁ 공익직불제 도입이 농업·농촌의 공익기능을 수행하는 데 어느 정도 기여하였는지와 관련하여, ‘농촌 지역사회 유지에 기여 한다라는 응답이 88.7%, ‘국토환경 및 자연경관 보전에 기여한다 라는 응답이 86.2%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 매우 기여 23.2%, 대체로 기여 31.5, 어느정도 34.0, 별로 기여하지 않음 10.0, 전혀 기여하지 않음 1.3
** 매우 기여 22.7%, 대체로 기여 31.2, 어느정도 32.3, 별로 기여하지 않음 12.2, 전혀 기여하지 않음 1.7
ㅇ 그 다음으로는 식량의 안정적 공급에 기여한다라는 응답이79.3%, 농촌 고유의 전통과 문화 보전에 기여한다라는 응답이 73.2% 순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 매우 기여 19.3%, 대체로 기여 29.2, 어느정도 30.8, 별로 기여하지 않음 18.2, 전혀 기여하지 않음 2.5
** 매우 기여 13.7%, 대체로 기여 26.3, 어느정도 33.2, 별로 기여하지 않음 23.2, 전혀 기여하지 않음 3.7
◆ (지역) 직불금 수령 농업인 84.2%는 본인 거주지역(시.군)에서 사용
◆ (용도) 직불금 사용 농업인 70.6%는 농자재 구매 등 영농 활동에 사용
ㅁ 직불금 사용지역을 조사한 결과, 본인이 거주하는 시·군에서 사용 하였다는 응답이 84.2%를 차지하였고, 미사용 10.0%, 온라인몰 등에서 사용 5.7% 순으로 답하여, 공익직불금 지급이 농촌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ㅁ 직불금을 사용했다고 답변한 농업인의 사용용도를 조사한 결과, 농자재 구입 및 영농시설 투자 등 영농 활동에 사용하였다는 응답이 70.6%로 가장 많았고, 식료품 등 생활비가 26.7%, 문화 생활·저축·기타 등이 2.8%로 나타났습니다
ㅇ 아직 사용하지 않았다고 답한 농업인(10.0%)은 56.7%가 영농 활동, 36.7%가 생활비, 3.3%가 문화생활에 사용할 계획인 것으로 답하였습니다
<향후계획>
ㅁ 농식품부는 12월까지 올해 기본형·선택형 공익직불금 지급을 마무리하고 오는 4월부터 내년도 기본형 공익직불금 신청접수를 시작할 계획이며, 신청접수 전 농업인이 사전에 준비해야 할 사항을 홍보 중입니다
원본자료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로 파일을 올려놓았습니다
다운받아보세요!!!!
2021년 기본형 공익직불금 112만 농업인에 지급 시작